본문 바로가기

영화/조던 필

어스 - 소외계층의 분노의 대폭발

소외계층


 어스는 소외계층에 관한 이야기다. 지하에 있는 사람들(테더들)은 사회의 밑바닥에 있는 사람들을 상징한다. 제대로 된 치료도, 그리고 같은 일을 당했을때의 케어도 안되어있고, 형편없는 교육수준에,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결혼하기도 하고, 아이도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가져야 된다.

자신보다 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시기와 질투 그리고 분노


 게이브의 집안은 그리 나쁘지 않게 잘 살고 있다. 하지만 전형적인 백인 중산층인 조쉬 부부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고 질투한다. 어느정도 사는 집안이라고 아래를 보고서 자신들의 처지에 만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위를 보고만 있고, 그에 대한 질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가장 아래에 있는 지하의 사람들이 자신들의 처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게이브의 이러한 질투는 자본주의의 성장 원동력이다. 더 나아지고 싶다는 원동력. 하지만 이것은 어느정도 사는 집안에서나 원동력이고 테더들처럼 최악의 상황의 사람들은 그마저도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질투 수준을 넘어 분노를 가지게 된다.

레드(스포 있으니 넘어가실 분은 넘어가시길)


 레드는 진짜 애들레이드다. 가짜 애들레이드가 강제적으로 처지를 바꾸었다. 그만큼 분노가 더 컸을 것이다. 원래는 자신이 누려야할 것들을 가짜가 누리고, 자신은 가짜가 당해야 됐을 것들을 당해야했으니까.

 이것은 자신이 누리고 있는 당연한 것들을 누리지 못하는 계층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다. 소외계층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당연히 누리고 있을 것들조차 누리지 못하는 처지의 사람들이니까.

레드의 이 슬프고 분노에 찬 눈은 영화를 직접 보고 이해한 사람들에게 더 와닿는다. 자신의 삶을 빼았겼으니까.

소득에 따른 언어능력 차이


 테더들은 제대로 된 대화를 하지 못한다. 조던필이 이것을 알고서 만든지는 몰라도, 언어능력은 집안의 소득에 영향을 받는다. 고소득층일수록 언어능력이 높다. 쓰이는 단어수도 다르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uman350&logNo=110178290366

 

[고소득층 아이 인지 언어능력 높다 / 경제수준과 자녀교육]

[소득별로 언어·인지능력 생후 18개월부터 큰 차이] 우리는 흔히 이런 말을 한다. “돈이 인생의 전부인가?...

blog.naver.com

https://www.yna.co.kr/view/AKR20131023006400072

 

"소득별로 언어·인지능력 생후 18개월부터 큰 차이" | 연합뉴스

(뉴욕=연합뉴스) 이강원 특파원 = 어린이들의 언어·인지 능력이 부모의 소득에 따라 생후 18개월부터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www.yna.co.kr

내가 누리고 있는 것에 대한 감사를 하자 그리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작년 8월 초, 나는 지금 있는 임대 아파트로 이사왔다. 잘 사는 것은 아니고, 소득은 여전하고, 몸상태도 여전하다. 하지만 집이 달라졌다는 것은 대단히 차이가 컸었다. 이전 집들은 반지하나 지하라서 항상 습기가 찼었고 밖에다 빨래를 널었기 때문에 비가 오면 항상 우산을 씌워놨어야 했었다. 지금 그 집에서 살라고 하면 아마 창문으로 뛰어내릴 것 같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때 당시에도 불행하기는 했었지만 나름 살 수는 있었다는 것이다. 운동도 할 수 있었고, 책도 읽을 수 있었고, 공부도 할 수 있었고, 직장도 있었고, 팔다리도 멀쩡했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중에 하나도 할 수 없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이 중에 무언가가 안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 사람들에 비해서는 난 정말로 행복한 편이다.

 자본주의의 원동력인, 그리고 발전의 원동력인 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질투를 버리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시각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만족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해준다.

※복선들


 조던필 감독답게 이 영화는 복선이 굉장히 많다. 그래서 더 재밌고. 영화를 보고 나서 다시 보면 더 재밌는 영화인데, 그 이유중에 하나가 이 복선들 때문이다. 처음에는 복선에 대해서 알지 못한채로 보고, 다음에 볼때는 반전을 알고서 보고, 다음에 볼때는 복선을 찾아보고 보면 재밌을 것 같다.

https://namu.wiki/w/%EC%96%B4%EC%8A%A4(%EC%98%81%ED%99%9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