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해목표

블로그 하루 방문자수 1000명 달성하기 : 하루 3개 글쓰기? 글 하루 3개? 하루에 글 1개도 올리지 않는 상황에서 3개를 생각한건, 글쓰는게 습관을 넘어 생활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다. 아침점심 저녁으로 올리기 위해서. 사실 이렇게 올리려면 미리 글을 여러개 써둬야된다. 그래서 지금 2022년 목표의 5개에 관한 매주 경과를 쓰고 있다. 매일의 경과를 쓰고 있기 때문에 다음주에 매일 1개씩 올리려고 한다. 그래서 5개는 확보되었는데, 문제는 나머지 16개의 글이다. 영화글 3개 주에 영화글 3개정도는 올려야될 것같다. 그래도 주가되는게 영화인 블로그인데, 3개정도는 올려야 현실적으로 맞는 것 같다. 지금 보고 있는 그리고 이 두개는 이번주에 리뷰가 확정이고, 아마 다음 영화는 와 이 두 개 중에 하나나 둘 다 일 것 같다. 책 4권 리뷰 지금 빌린 책 4권을 리.. 더보기
바디프로필 찍기-1주차 : 해야 하는 일 적기 해야하는 것 12시 이전에 자기 하루 물 2리터 마시기 매일 단백질 100g 섭취하기 주 7회 헬스가기 등산 주 1회가기 체지방률 3% 만들기 바디프로필 장소 및 금액 알아보기 하고있는 것 완료한 것 특이사항 트레이너분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주 7회 매일 1시간 30분정도 운동을 하기로 함. 6개월만 죽었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이 시기는 나의 몸과 인생을 위해서 투자하기로 말이다. 이 시기동안 몸을 만들어 놓으면 나중가서도 관리를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체력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다. 더보기
2022년 목표 : 바디프로필 찍기 바디프로필 인생에 한번쯤은 "와 내 몸매 끝내준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싶다. 이전에도 살을 뺀 적은 있지만, 그 때의 몸도 나쁘지는 않았다. 하지만 미용적으로 관리를 한 것이 아니라서 그 이후에는 관리가 잘 되지 않았다. 한번 몸이 좋기 시작하면 그 이후로는 그 몸을 놓치고 싶지 않아서 관리하게 된다. 체지방률 바디프로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근육량도 있지만 체지방률이 더 중요하다. 일단 몸의 선이 나오려면 체지방률이 어느저도 되야 되기 때문이다. 트레이너분의 말로는 남자는 8~9프로는 나와야 되고, 잘나오려면 5~7프로, 3프로가나오면 괴물이라고 한다. 나의 경우는 정말 극단적으로 감량을 해보려고 해서 3프로를 목표로 해보려고 한다. 유산소 훈련 나는 유산소 훈련을 싫어한다. 내가 잘 못해서 싫은 것도.. 더보기
2022년 목표 : 레슬링 대회 입상하기 레슬링 대회 정확히는 내가 다니는 골드레슬링이라는 곳에서 입상하고 싶다. 하반기와 상반기에 열리는데, 상반기에 입상하기에는 실력상에 문제가 있고 내년 하반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상반기 올해는 12월 초에 대회가 있었다. 나가고 싶었는데, 발목이 아파서 나가지 못했고. 아마도 내년도 12월 초쯤에 열릴 것 같은데, 그 때를 목표기한으로 두고서 준비를 하면 될 것 같다. 체중감량 아마 가장 급하게 달성해야 되는 것이 체중감량일 것 같다. 지금 체급에서 나가면 아마 첫 시합에서 떨어질 거 같거든(109kg). 물론 근력과 근지구력, 근육량을 더 올려서 100키로 이상을 만들 계획이지만, 지금으로서는 90아래로 만들어서 나가고 싶다. 근지구력 현재 유연성의 큰 문제는 없다. 요가 같은 것을 하는데는 몰라도, .. 더보기
2022년 목표 2022년 이제 한 해가 마무리되어가고 있다. 원래 목표나 계획은 시작할 때 짜는 것이 아니라 생각해서 난 올해를 마무리 지으면서, 내년을 계획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이미 이전에 목표를 만들어본적이 있긴하지만, 이걸 글로서 작성해서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 그리고 소목표와 대목표를 나누어보고 싶다. 올해 달성한 것들 이전에 워렌버핏의 자신의 조종사에게 25가지 목표를 적어보라고 하고, 그 중에서 중요한 5가지를 추리게 했었는데, 나 또한 이것을 잘 따르는 편이다. 물론 제대로 지켜진 적은 없지만, 이번에는 방법을 바꾸어서, 목표달성방법을 몇 개 더 적용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내 25가지 목표를 적어보기 전에 올해 달성한 것을 몇 개 적어보자면 목공 시작 : 트레일, 모니터 받침대, 책상, 책장..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