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권 썸네일형 리스트형 수학 하위권은 고2 2학기에 어떻게 해야될까 고2 2학기면 내신을 바꾸긴 어렵다 고2 2학기에는 내신을 바꾸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다른 과목은 몰라도 수학은 그렇다. 왜냐하면 고2 2학기는 1학년, 고2 1학기 내용이 모두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성적이 높은애들은 어차피 높을 거고, 성적이 낮은 애들은 어차피 낮을 거다. 그렇다면 이런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등급에 변화를 주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5~6등급 다 그렇지는 않지만 5~6등급은 그래도 공부를 하긴했던 애들이 있다. 이 애들은 그래도 공식을 배우긴했는데 적용을 잘 못하거나, 아니면 공식을 기억을 못하거나 한다. 그래도 적어도 배우긴 한 등급이다. 이 경우는 앞의 부분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을 상기하면서 진도를 나가면 된다. 물론 정말 힘들겠지만 본인의 노력여하에 따라서 4등급도 가능은.. 더보기 공부를 안하는 애들은 어떨까 최근 뷰티풀 너드의 8 수생 브이로그를 보았다 보면서 정말 와닿는 게 많았다. 나도 집안 형편이 아주 안 좋았을 때 남 탓을 많이 했고, 공부를 안 했을 때 다른 애들이 어느 정도 하는지 모르니, 조금만 힘들어도 그만두려고 했었다. 그런데 지금도 그런 아이들이 많을 것 같다. "나는 안 그런데"라고 생각하는 대부분도 정도가 다를 뿐이지 본인이 어느 정도 하는지 잘 모르고, 본인이 어느 정도 노는지도 잘 모른다. 가장 큰 문제는 상위권이 어느 정도 하는지를 잘 모른다는 거지. 그래서 오늘은 8수생 브이로그에서 나온 공부를 못하는 애들의 특징, 더 나아가서 집안 형편이 안 좋은데 공부를 안 하거나 못 하는 애들의 특징을 좀 알아보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e9f.. 더보기 상위권과 하위권의 차이 - 노력에 대한 정의가 다르다 노력이란 내가 모르는 것을 알아가고 나 자신을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내가 성공할 확률을 높이는 것을 말할 수도 있다. 그리고 풀어서 말하자면 내가 모르는 것을 알아가고 나 자신을 개선해나가는 것이 노력이다. 이것을 해야 성공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상위권과 하위권의 차이 상위권의 경우는 이게 정말 잘되어있다. 어떤게 시험에 나오는지 캐치해서 성적이 높을 확률을 높인다. 컨디션 조절을 해서 시험때 실수할 확률을 줄인다. 자신이 모르는걸 줄여가서 틀릴 확률을 줄인다. 반면 하위권은 다르다. 하위권은 그저 많이 풀면, 진도를 빠르게 나가면, 성적이 높아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인강이나 답지보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다. 하위권에게는 자신이 그걸 알았다는 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알았다고 느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