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R
OKR은 Objective(목표)와 그에 대한 Key Results(핵심 결과)를 말한다. "좋은 몸을 만들고 싶다"라는 목표가 생겼다고 하자. 그러면 문제가 생긴다. 좋은 몸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요즘은 헬스가 워낙 대중화되다 보니 근육질 몸이 좋은 몸이라는 게 다수의 의견이다. 하지만 좋은 몸이라는 것은 의외로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외향적으로 뛰어난 몸
일단 외향적으로 좋은 몸을 좋은 몸이라 하자. 그런데 사람마다 가장 좋게 보는 부위는 다르다. 허벅지, 엉덩이, 균형미, 복근, 팔뚝. 혹은 마르냐 뚱뚱하냐. 이것도 어느 정도 마르냐 뚱뚱하냐.
그럼 내가 외향적으로 좋은 몸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면 여기에 대한 핵심 결과(Key Results), 허벅지 몇인치, 혹은 바디 프로필 찍기, 체지방율, 몸무게 이런 것들을 설정해야 된다는 것이다.
신체적으로 뛰어난 몸
그럼 신체적으로 뛰어난 몸을 가지게 된다면? 사실 나는 기능적으로 좋은 몸이야말로 좋은 몸이라 생각한다. 젊을때야 워낙 몸이 건강하고, 힘도 좋고, 유연하지만, 나이가 많아지면 이게 안된다.
체력은 떨어지고, 근력은 줄고, 몸은 점점 뻣뻣해지고. 이런 걸 생각하면 우락부락한 노년층보다는 균형잡히면서도 기능적으로 훌륭한 몸을 만드신 분들의 몸이 더 좋아 보인다.
Key Results의 핵심
수치화
그럼 이제 신체적으로 뛰어난 몸을 가지는 것에 대한 핵심 결과(Key Results)를 생각해 보자. 요즘은 3대가 중요하니 3대 500을 생각해도 좋고, 멀리뛰기 몇 미터, 혹은 어느 대회 우승이나 유단자가 되는 것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바로 Key Results다. 내가 그 목표를 달성했다는 것 알려주는 것들. 3월은 이러한 Key Result를 기반으로 목표를 만들고 있다. 여기서 Key Results의 핵심은 수치화인데, 내가 만든 목표들은 모두 수치화가 되도록 하고 있으니까.
'독서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터 하루 4시간만 일하는 시대가 온다 : 4시간으로 효율이 나올까? (1) | 2023.03.19 |
---|---|
<역행자> 1장 나는 어떻게 경제적 자유에 이르게 되었나 - 역행자가 되기 위해 3개의 벽을 넘다 (3) | 2022.09.12 |
<린치핀> - 대체불가능한 인간을 목표로 (6) | 2022.09.02 |
<역행자> 서론 - 나의 자의식을 받아들이자 그리고 해체하자 (15) | 2022.08.31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2장 정체성, 사람을 움직이는 가장 큰 비밀 - Be->Do->Have (34)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