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자기계발

쇼터 하루 4시간만 일하는 시대가 온다 : 4시간으로 효율이 나올까? 나인 투 파이브 대부분 직장인들은 나인 투 파이브다. 우리나라처럼 보수적인 나라는 더욱이 그렇다. 나처럼 저녁에 일하는 사람 또한 근무시간은 비슷하다. 9시에서 5시라면 점심시간을 제외하면 하루 8시간, 주 5일이라면 주 40시간, 주말까지 근무하면 48시간이다. 35시간도 많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40시간은 정말 곤욕일 것이다. 나처럼 학원강사나 과외일을 하는 사람들 또한 마찬가지다. 나 또한 40시간 정도를 근무하고 있으니까. 물론 여기에 추가적인 일이 생기면 더하다. 하지만 저자는 이것을 하루 4시간근무로, 그것도 일하는 늘리는 것이 아니라 줄이거나 유지하는 것으로 업무효율을 늘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루 4시간이면 주 5회 20시간, 주 4회면 16시간이다. 기존 40시간인 것에 절반이다. 이것으.. 더보기
<<okr 전설적인 벤처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 - OKR에 대해 OKR OKR은 Objective(목표)와 그에 대한 Key Results(핵심 결과)를 말한다. "좋은 몸을 만들고 싶다"라는 목표가 생겼다고 하자. 그러면 문제가 생긴다. 좋은 몸이라는 것은 무엇일까? 요즘은 헬스가 워낙 대중화되다 보니 근육질 몸이 좋은 몸이라는 게 다수의 의견이다. 하지만 좋은 몸이라는 것은 의외로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외향적으로 뛰어난 몸 일단 외향적으로 좋은 몸을 좋은 몸이라 하자. 그런데 사람마다 가장 좋게 보는 부위는 다르다. 허벅지, 엉덩이, 균형미, 복근, 팔뚝. 혹은 마르냐 뚱뚱하냐. 이것도 어느 정도 마르냐 뚱뚱하냐. 그럼 내가 외향적으로 좋은 몸을 가지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면 여기에 대한 핵심 결과(Key Results), 허벅지 몇인치, 혹은 바디 프로필 찍기,.. 더보기
<역행자> 1장 나는 어떻게 경제적 자유에 이르게 되었나 - 역행자가 되기 위해 3개의 벽을 넘다 3개의 벽 저자에게는 3개의 벽에 있었다. 외모, 공부, 돈. 이 세 개의 벽은 너무나 높아서 저자에게는 평생 넘을 수 없으리라 생각했다. 외모는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가 혐오할 정도, 공부를 해도 하위권, 돈은 너무 없어서 친척들에게 돈을 빌려야 될 정도였다. 하지만 저자는 이 3개의 벽이 무너뜨렸고, 그 때 저자는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게 한 번에 무너진 것은 아니다. 저자는 우연한 계기로 책을 읽게 되었는데, 인간관계가 너무 서툴어서 사람들과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책을 찾았다. 그리고 인간관계가 해결이 되어갔다. 화술에 관한 책이었는데, 그 책으로 인해서 저자는 자신이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잘못된 부분을 깨닫고 그것을 고치게 된다. 신기하게도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보.. 더보기
<린치핀> - 대체불가능한 인간을 목표로 시대는 변했다 인간이 안 변한게 문제지 기존의 시대에서는 그저 평범하게 사는 것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았다. 평범하게 살아도 벌어먹고 살았다. 힘들 때도 있었지만. 하지만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기계라는 평범한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자원이 나오고부터 대부분의 인간은 대체가 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자리를 잃기 시작했다. 오죽하면 산업혁명 초기에 노동자들은 기계를 때려부쉈다(러다이트 운동). 방직기가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뺐는다는 이유였다. 문제는 지금은 그 때보다 더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AI가 대부분의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것이다. 린치핀 린치핀 : 마차나 수레의 축에 꽂는 핀. 핵심축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외교적으로는 (공동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동반자라는 의미.. 더보기
<역행자> 서론 - 나의 자의식을 받아들이자 그리고 해체하자 나와 자청님의 과거는 닮았다 나와 자청님의 과거는 많이 닮았다. 가난하고, 공부도 못하고, 못 생겼고, 놀기 좋아하고. 전형적인 가난한 집의 도파민 중독자들이다. 이러한 도파민 중독자들은 자존감도 엄청 낮고, 타인을 질투하고 깍아내리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자청님은 이것을 극복한 아주 보기 드문 사례다. 3개의 벽 3개의 벽 자청 나 외모 자신이 좋아하던 아이의 무리에게 가장 못생긴 남자 1위로 선정됐다 항상 뚱뚱하고 내가 좋아하던 아이에게 경멸스런 눈빛을 받았었다 공부 놀면서 한 친구는 반에서 10등이었지만, 자신은 35등이었다. 성적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져서 제대로 된 대학에 지원도 못했다 돈 빚 독촉 때문에 친척들에게 사정하는게 일상이고, 매일 집에서조차 추위에 떨어야 했다 어렸을적 가난해서 급.. 더보기
<아주 작은 습관의 힘> 2장 정체성, 사람을 움직이는 가장 큰 비밀 - Be->Do->Have 어떤 것을 원한다면 그것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된다 우리가 담배를 참는 사람이라 생각하면 우리는 "담배를 피지 않는다"라는 결과를 통제해야 된다. 이것은 습관보다는 의지력을 주로 쓰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흡연자가 아니다"라는 생각을 한다면, 우리의 정체성은 흡연을 하지 않는 과정에 집중하고, 담배를 피지 안않는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정체성->과정-> 결과 순으로 가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습관을 바꾸기가 어려운 것은 두 가지 경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변화시키고자 하는 대상이 잘못된 경우 변화의 방식이 잘못된 경우 결과는 우리가 얻어낸 것이며, 과정은 우리가 해내가는 것이다. 그리고 정체성은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그런 사람이라고 원하지도 않으면서 그 과정을 .. 더보기
<아주 작은 습관의 힘> Chapter 1 평범했던 선수들은 어떻게 세계 최고가 되었을까? - 바보야 중요한건 시스템이야(Atomic Habits) 세계 최고가 된 영국 사이클팀 1908년 이후 영국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단 한 개 땄을 뿐이고, 110년 동안 투르 드 프랑스(가장 큰 사이클 대회)에서 110년 동안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다. 심지어 유럽 최고의 사이클 제조업체 한 곳은 영국 선수들에게 사이클을 판매하는 것조차 거부했다. 새로 감독으로 부임한 브레일스퍼드는 '사소한 성과들의 총합'이라는 전략을 가져왔다. "당신이 사이클을 탈 때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 잘게 쪼개서 생각해보고 딱 1퍼센트만 개선해보라. 그것들이 모이면 상당한 발전이 이뤄질 것이다. 내 전략의 전반적인 원칙은 바로 이런 관점에서 세워졌다." 브레일스퍼드와 코치들이 적용한 것 사이클 안장을 보다 편안하게 디자인하기 타이어는 접지력을 높이기 위해 알코올로 닦기 선수들에게.. 더보기
<의지력의 재발견> - 자기 절제력과 인내심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 이번에는 의지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이전에 리뷰를 했던 에서는 의지력을 최대한 쓰지 않고 습관을 키우는 방법을 다뤘다. 이번에는 그 의지력을 키우는 방법을 배울 차례다. 의지력은 당연히 강한게 좋은 것이다 에서 의지력을 거의 쓰지 않는 선에서 '작은 습관'을 만들었다면, 의지력을 극강으로 강화시킨다면 이 '작다'의 개념이 기존보다 커진다. 나처럼 살이 뒤룩뒤룩찌고 게으른 사람과, 체력이 좋고 근육질의 특수부대의 의지력의 차이는 클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나는 하루에 푸쉬업 한개정도를 '작은 습관'으로 잡았다면, 특수부대는 10개든 100개든 '작은 습관'일 수도 있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