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자기계발

<습관의 재발견> : 제2장 습관은 어떻게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가 - 습관이 형성되는 과정

우리의 뇌는 느리고 게으르도록 진화했다


 습관이 잘 안 바뀐다는 것이 너무 힘들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나쁜 습관만을 생각해서 그렇다. 좋은 습관이 하루아침에 사라지거나, 내 성격이나 내 생활습관이 계속해서 바뀐다면 인생은 혼돈 속으로 들어갈 것이다.

 만일 당신의 성격과 삶이 하룻밤 사이에 확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해 보자. 아마도 너무나 혼란스러워서 미쳐버릴지도 모른다.

힘세고 멍청한 로봇(기저핵) 영리하지만 피곤한 관리자(전전두엽)


 우리의 습관은 기저핵이 관리한다. 계속해서 같은일을 꾸준히 반복하는 능력이 있다.

 이 기저핵은 의식을 갖고 있찌도 않고,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더 높은 수준의 목표 같은 것도 모른다. 하지만 효율적인 패턴 반복 행위자로서 우리의 에너지를 아껴주는 역할을 한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eanalogue&logNo=220753972182

 

[뇌과학] 기저핵(basal ganglia)의 기능

기저핵(basal ganglia)의 기능 기저핵은 심층 변연계를 둘러싸고 있는 뇌의 중심으로 향하는 커다란 구조물...

blog.naver.com

 반대로 우리가 통제가 가능한 것은 전전두엽이다. 전전두엽은 영리하다. 기저핵의 통제를 벗어날 수도 있다. 체력이 너무 약해서 거의 쓰지 못하지만.

전두엽 : 행동을 결정하는 머릿속 감독관


 전두엽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지 못한다. 상대를 따라하고 싶다는 충동이 생겼을때, 전두엽이 없으면 충동을 억누르지 못한다.

 전전두엽은 자동화된 행동을 관리, 감독하여 뭔가 개선할 여지가 있으면 개입을 한다.

https://www.brainmedia.co.kr/BrainScience/884

 

두뇌 사령탑, 전전두엽

전전두엽前前頭葉(prefrontal lobe)은 전두엽 중에서도 머리의 이마 앞부분에 해당한다. 아직 그 기능이 베일에 싸여 있을 때 전전두엽은 지능과 의식, 영혼의 핵심적인 비밀이 숨겨져 있는 곳으로

www.brainmedia.co.kr

프로그래밍된 뇌 : 좋은 습관을 '자동화'하는 방법


 전전두엽과 기저핵을 잘 활용해야된다. 전전두엽을 단련하고, 기저핵이 좋은 방향으로 일을 하도록 만드는 것. 그것이 좋은 습관을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이것은 '동기'와 '의지력'을 이용해야 된다. 물론 이 책에서는 '동기'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어떤 행동이 습관으로 자리 잡기 전 우리를 움직이는 것은 '동기'와 '의지력'이다. 하지만 다음 장으로 넘어가기 전에 동기에는 작별을 고하자. 이제 동기는 더 이상 필요하기 때문이다.

<습관의 재발견> : 제1장

https://sanalove21.tistory.com/249

 

<습관의 재발견> 1장 작은 행동, 큰 결과 - 산을 쌓기 위해서 모래알갱이를 쌓자

산 나와라 뚝딱하는 것은 동화속 얘기다  우리가 산을 쌓고 싶다면, 우리는 모래알갱이부터 천천히 하나씩 쌓아야 된다. 이게 익숙해지면 한줌씩, 이게 더 익숙해지면 삽을 가져와서, 이것도 쉬

sanalove21.tistory.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15123920

 

습관의 재발견 - YES24

1월에 당신이 세웠던 ‘올해의 목표’, 기억하고 있는가? 많은 이들이 한 해, 한 주가 시작될 때마다 저마다의 목표와 계획을 세운다. 새해 결심으로 빠질 수 없는 금연과 다이어트, 자기계발을

www.yes24.com

 

반응형